반응형


풀이

지난번에 푼 1000번 A+B의 변형 문제이다.

Scanner를 활용해 정수 A와 B를 입력받은 뒤 A-B를 출력해주면 된다.


      
import java.util.Scanner;
public class Main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{
Scanner sc = new Scanner(System.in);
int A = sc.nextInt();
int B = sc.nextInt();
System.out.println(A-B);
}
}

느낀 점

문득 예전에 들은 생활코딩 강의가 생각났다.

정확한 내용은 기억 안 나지만 이런 느낌이었다.

 

3-2= 같은 계산이야 그냥 암산하는 게 더 빠르겠지만

15553157373754237357-23473757375373= 같은 계산을 해야 할 때 코딩의 힘이 발휘된다 라는 뉘앙스의 말이었다.

 

그러니까 그게 무슨 말이냐면 닭잡는데 칼이 필요한가? 하는 것이다.

김대리 팡션 밈
팡션?

 

쉬운 문제를 풀어서 잡생각이 났나보다.

곧 어려운 문제를 풀게 되면 머리가 아파서 이런 생각도 못하겠지?

 

반응형
그레이트현